티스토리 뷰
목차
✔️ TV, 냉장고, 침대 등의 대형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서는 꼭 스티커를 붙인 후 버려야 합니다.
✔️ 전에는 스티커를 구하기 위해서는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했었지만 현재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어플로 간편하게 스티커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형 폐기물 스티커 인터넷과 모바일에서의 발급 방법과 대형 폐기물의 종류와 무상 수거 품목과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대형폐기물 스티커 발급 받기 🔽
대형 폐기물 스티커 발급 방법(인터넷, 어플)
☑️ 대형 폐기물 스티커는 대형 폐기물을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한 인증 수단입니다.
☑️ 주민센터에 방문해 스티커를 받는 방법은 너무 번거로우니 생각하고 인터넷과 모바일 어플을 통해 발급받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 개인적으로 저는 인터넷보다는 더 간편하고 빠른 모바일 어플 '빼기'를 통해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모바일 어플로 스티커 발급받기
☑️ '빼기'라는 어플은 주민센터와 인터넷을 통해서 대형 폐기물 스티커를 발급받는 것보다 훨씬 간편하고 빠른 방법입니다.
☑️ 모바일 어플이 편리한 점은 따로 스티커 프린터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 먼저 아래 버튼을 통해 '빼기' 어플을 다운로드하길 바랍니다.
☑️ 어플의 상세한 이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플을 다운로드 후 실행합니다.
👉 어플 초기화면에서 보이는 '대형폐기물 버리기'를 선택합니다.
👉 이후 버리기 방식을 선택합니다. (직접 버림 or 내려드림 중 선택하시면 됩니다.)
⛔ 직접 버림
👉 직접 버림을 사용하시는 경우는 혼자서 대형 폐기물을 밖에 내놓을 수 있을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 직접 버림은 대평 폐기물 스티커를 발급하시면 예약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확인가능한 '예약번호'를 '종이'에 '수기'로 적어서 버리시려는 폐기물에 붙여서 밖에 내놓으시면 됩니다.
⛔ 내려 드림
👉 내려 드림을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혼자가 버리시기 어려울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내려 드림은 빼기 파트너가 직접 집에 방문해 폐기물을 수거해 가기 때문에 비교적 더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하지만 추가 수수료가 발생하니 이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인터넷으로 스티커 발급받기
☑️ 인터넷은 지자체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스티커를 발급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 전국 지자체 링크는 아래 버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대형 폐기물 종류
☑️ 대형 폐기물은 가정에서 배출하는 물품 중에서 개별적으로 개량이 가능하고 품명을 알아볼 수 있는 물질로 정의합니다.
☑️ 대형 폐기물은 일반적으로 종량제 봉투에 담기 어려운 크기입니다.
☑️ 대형 폐기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구: 침대, 침구, 화장대, 액자, 카펫, 주방가구, 조명, 붙박이장, 장롱, 책상, 의자, 책장, 선발, 수납가구, 식탁, 옷장, 서랍장, 테이블, 평상, 조명, 스탠드, 장판 등등
👉 가전: 오븐, 다리미, 가습기, 티브이, 청소기. 건조기,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선풍기 등등
👉 건강: 보행기, 안마 의자, 목발 등등
👉 악가: 피아노, 기타, 스피커, 관악기 등등
☑️ 그 외 다양한 대형 폐기물을 버릴 때는 꼭 스티커를 발급받아 버리시길 바랍니다.
대형 폐기물 무상 수거 품목
☑️ 무상 수거 물품을 버리실 때는 '대형 폐기물 무상수거 온라인 예약'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 무상수거 온라인 예약은 아래 버튼에서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대형 폐기물 주의 사항
☑️ 지정된 장소에만 폐기물을 배출해야 합니다.
☑️ 지자체별로 정해신 시간 내에 폐기물을 배출해야 합니다.
☑️ 폐기물의 크기나 무게가 신고 내용과 다를 시 추가적인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배출 스티커는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하시길 바랍니다.
☑️ 폐기물의 종류와 크기와 수량을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형 폐기물 스티커 인터넷과 모바일에서의 발급 방법과 대형 폐기물의 종류와 무상 수거 품목과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대형 폐기물을 처리할 때마다 항상 번거로웠지만 '빼기'라는 어플을 사용해 신청하면 종이에 번호만 적으면 쉽게 폐기물 처리가 가능하니 정말 간편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폐기물의 종류나 무게 그리고 크기 등의 정보를 허위로 입력하면 과태료나 추가적인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이 부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이것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