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요즘 너무나도 더운 날씨에 다들 에어컨을 풀가동하고 있을 텐데요. 그에 따라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까 봐 걱정하고 있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요금의 조회 및 납부 방법과 전기요금을 직접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절약하는 팁 마지막으로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인 에너지바우처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기 요금 절약하는 방법: 에너지바우처 신청하기 🔽
전기요금 조회 방법
☑️ 한전 on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전기요금을 조회할 때는 따로 로그인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 상세한 조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전 on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상단의 '전기요금' -> '전기요금계산/비교'를 들어갑니다.
👉 '계약종별 선택'을 진행합니다
👉 '조건선택'을 진행합니다. 용도와 주거구분을 자신에 맞게 선택한 후 '요금 계산'을 누릅니다.
1️⃣ 가구의 종류: 5인이상 가구, 출산가구, 3자녀 이상 가구 등 선택을 진행합니다. 해당사항이 없으면 해당 없음으로 설정합니다.
2️⃣ 지정하기를 원하는 시작일과 종료일은 선택합니다.
3️⃣ 복지할인요금: 장애인, 기초생활 수급자, 국가 유공자 들어 선택 가능합니다.
5️⃣ 사용량은 청구서나 아파트 관리 사무소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 전기요금 조회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요금 납부 방법
1️⃣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은행이나 편의점에 방문해서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 인터넷 뱅킹으로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3️⃣ 자동이체를 설정하여 매달 자동으로 납부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4️⃣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기요금 직접 계산해 보기
☑️ 전기요금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기요금 청구액 계산방법(TV수신료 별도)
① 기본요금(원단위 미만 절사)
② 사용량요금(원단위 미만 절사)
③ 전기요금계 = ① + ② - 복지할인
④ 부가가치세(원단위 미만 4사 5입) = ③ × 10%
⑤ 전력산업기반기금(10원 미만 절사) = ③ × 3.7%
⑥ 청구요금 합계(10원 미만 절사) = ③ + ④ + ⑤
☑️ 자동이체 할인 적용 시 계산(끝자리 수 처리는 상기와 동일)
a. 상기 전기요금계(③) - (전월 납부 전기요금 × 0.01) [1,000원 한도]
b. 당월 청구요금 = a + 부가가치세(a × 10%) + 전력산업기반기금(a × 3.7%)
전기요금 절약 팁
☑️ 에니저 절약가전을 사용합니다.
☑️ 전통적인 백열전구 대신 소비전력이 낮고 수명도 긴 LED 전구를 사용합니다.
☑️ 전기사용량을 모니터링해 효율적인 에니지 소비 습관을 만듭니다.
☑️ 계절에 따른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합니다. 여름에는 에어컨 사용을 최소화하고 겨울에는 온열 기구의 사용을 최소화합니다.
에너지바우처 신청하기
☑️ 에너지바우처란?
👉에너지 취약계층의 시원한 여름과 따뜻한 겨울을 지원하고자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을 구입할 수 있도록 금전적인 도움을 주는 지원 제도입니다.
☑️ 전기요금 감면을 지원받을 수 있는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름
👉노인 : 주민등록기준 1958.12.31 이전 출생자
👉영유아 : 주민등록기준 2017.01.01 이후 출생자
👉장애인 :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
👉임산부 :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
👉한부모가족 : '한부모가족지원법' 제5조 및 제5조의 2에 해당하는 자
👉소년소녀가정 :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아동분야 사업 중 소년소녀가정 지원 대상에 해당하는 사람('아동복지법' 제3조에 의한 가정위탁보호 아동을 포함)
🔽 지금 당장 에너지바우처 신청하고 36.7만 원 지원받기 🔽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도요금 조회 및 납부
매월 수도요금 고지서가 날아오긴 하지만 고지서를 잃어버리기도 하고 매달 정리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원하는 기간의 수도요금을 한 번에 조회와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
44.norestman.com
도시가스 요금조회 및 납부 방법
✔️ 도시가스는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요금 조회 or 납부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집 도시가스 공급업체를 알아야 합니다. ✔️ 공급업체를 모르겠다면 한국도시가스협회에서
44.norestman.com